지원금/청년층

💸 청년도약계좌 완전 정리! 가입 조건부터 혜택, 일시납까지 한눈에 👀

memo1738 2025. 4. 16. 11:53

요즘 청년들 사이에서 청년도약계좌가 뜨겁게 주목받고 있어요.
정부에서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지원금을 얹어주는 계좌인데요,
가입 조건만 충족하면 비과세 혜택, 우대금리, 정부기여금까지 받을 수 있는 아주 유용한 제도랍니다.

지금부터 가입 조건부터, 혜택, 가입절차, 일시납 안내, 유지심사까지
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!

 

청년도약계좌 참여방법
청년도약계좌 알아보기

✅ 청년도약계좌란?

정부가 만 19세~34세 청년을 위해 만든 자산형성 지원형 계좌로,
매달 일정 금액을 납입하면 소득구간에 따라 정부기여금을 추가로 받을 수 있어요.
이자소득세도 면제되기 때문에 실질적인 수익률도 높아지죠!


🧾 가입 대상 조건

항목조건
나이 만 19세~34세 (병역 이행 기간 최대 6년 제외 가능)
개인소득 총급여 7,500만원 이하 / 종합소득과세표준 6,300만원 이하
가구소득 기준 중위소득 250% 이하 (가구원 수 기준)
금융소득 최근 3년 중 1회 이상 ‘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’가 아니어야 함

🔹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는 가입 제외 대상이에요.
🔹 소득이 아직 확정되지 않은 경우 전전년도 소득으로 판단해요.


🎁 가입 혜택 정리

  • 💰 정부기여금
    납입액에 따라 소득구간별로 차등 지급
  • 🧾 비과세 혜택
    납입금 + 정부기여금에 대한 이자소득세 면제
  • 📈 우대금리 혜택
    저소득층 청년에게 추가 금리 우대

🔸 매달 꾸준히 납입하면, 생각보다 더 큰 목돈이 쌓일 수 있어요!


📝 가입 및 심사 절차

  1. 청년도약계좌 신청 (은행 앱 또는 홈페이지)
  2. 자격 확인 및 심사 진행
  3. 가입 승인 후 계좌 개설
  4. 월 납입금 설정 및 납입 시작

🔔 주의사항

  • 1인 1계좌만 가능 (모든 은행 포함)
  •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는 중복 가입 불가
  • 금융소득 관련 확인이 지연될 경우 납입 중지나 혜택 환수 가능

💼 일시납입이란?

청년희망적금 만기자는 해당 금액을
청년도약계좌에 일시납입 형태로 연계 가능해요!

구분내용
대상 청년희망적금 만기 수령자 중 청년도약계좌 가입 요건 충족자
일시납입 가능 금액 최소 200만 원 ~ 청년희망적금 만기 수령금 전액
월 납입금 설정 40 / 50 / 60 / 70만 원 중 선택 (변경 불가)
조건 일시납 금액은 월 납입금의 배수로만 가능

📝 정부기여금은 일시납 전환 시점에 따라 달라져요!


🔍 유지심사란?

청년도약계좌는 가입 후에도 매년 소득 기준 유지 여부를 심사합니다.

📌 유지심사 주요내용

  • 대상: 계좌 유지자 전원 (중도 해지자 제외)
  • 시기: 일반 가입자는 다음 해부터 매년, 일시납입자는 전환 익월부터 적용
  • 내용: 국세청 기준 소득자료 확인 후 정부기여금 지급 비율 재산정

💡 가입 시 소득 기준을 충족했다면, 만기까지 비과세 혜택은 유지돼요!


✅ 마무리: 이런 분들에게 추천해요!

  • ✔️ 20~30대 청년으로 자산을 차근차근 모으고 싶은 분
  • ✔️ 일정 소득 이하로 정부 지원이 가능한 분
  • ✔️ 청년희망적금 만기 후 다음 스텝이 필요한 분

👉 자세한 정보나 신청은 서민금융진흥원 또는 각 시중은행 앱에서 확인 가능합니다!
정부의 자산 형성 지원, 놓치지 말고 꼭 챙기세요! 💪

 

https://ylaccount.kinfa.or.kr/main

 

서민금융진흥원 | 청년도약계좌 상품 안내

청년도약계좌 상품 안내 개인요건 및 가구원 최신화 ※ 본인 나이 및 주민등록표등본 기준의 가구원 정보에 이상이 없는 경우,별도로 최신화를 신청하실 필요는 없습니다. (바로 가구원 동의절

ylaccount.kinfa.or.kr

 

'지원금 > 청년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💸 2025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시작!  (1) 2025.04.30